4-3. 네트워크 효과를 위한 약한 연결 (Weak Tie)

약한 연결(Weak Tie)의 강력한 기능에 대해서는 1973년 Mark S. Granovetter의 논문 “The Strength of Wek Ties”에서 밝힌 바 있습니다. 이 논문의 주요 결론들은 웹2.0 서비스를 통한 증명되고 있으며, 기존의 네트워크 이론에서 약한 연결이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확산에 있어서의 핵심적인 중요성이 대두 되었습니다.

이것은 사회 관계에서 네트워크 효과를 발현시켜 기하급수적인 네트워크 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을 약한 연결을 맺고 있는 참여자가 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l 웹3.0에서 약한 연결의 제약 – 토큰의 이중성

웹3.0에서 가상자산 토큰은 커뮤니티 생태계 내에 사용자를 끌어당기는 강력한 도구 임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반대로 토큰을 매개로 한 강한 연결 중심의 폐쇄적인 요소는 커뮤니티의 확대를 제약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토큰은 커뮤니티 네트워크의 측면에서 이중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웹3.0 블록체인 생태계는 토큰을 매개로 한 강한 연결 중심의 커뮤니티를 주로 구축하게 됨에 따라, 네트워크 확대의 제약이라는 측면이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강한 연결 중심의 네트워크 커뮤니티는 필터 버블(Filter Bubble)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커뮤니티 내의 정보 편향성을 더욱 강화하여 네트워크의 확대를 더욱 제약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l 약한 연결의 활용 및 강화 방안

웹3.0 서비스의 성공을 위해서는 약한 연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NCOP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약한 연결 역할을 하는 사람들을 발굴하고 끌어당기며, 그들이 외부의 다른 네트워크와 NCOP 생태계를 연결하는 가교(Bridge)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보상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1) 약한 연결 대상: 약한 연결의 대표적인 네트워크 구성원은 인플루언스입니다. 그들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일정 정도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적으로 강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인플루언스의 영향력은 각 팔로워들의 네트워크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NCOP 네트워크에서의 약한 연결은 NCOP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약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이러한 모든 사람들이 약한 연결의 대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약한 연결 인입 방안:

- NCOP 생태계 내 커뮤니티 간 연계: NCOP 내 커뮤니티들이 공유할 수 있는 통합·공유 자유게시판 등을 플랫폼 내에서 제공하여 공유 정보를 통한 네트워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니다.

- 빅마우스(Big Mouse)를 통한 연계: 인플루언스 등 다양한 커뮤니티 내에서 활발히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빅마우스들을 NCOP 생태계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배치합니다.

- 외부 커뮤니티 연계 활동: NCOP 플랫폼에 대한 소개 등을 외부의 커뮤니티에 올리고, 그 정보를 NCOP 플랫폼에 링크 함으로써, 외부 커뮤니티와의 연계를 만들어 나갑니다.

- NCOP은 다양하게 외부와의 연결 라인을 준비하고 제공하여 약한 연결을 통한 네트워크의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활동의 성과로 약한 연결이 강한 연결로 상향 발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3) 보상 방안: 약한 연결의 역할을 한 참여자들에 대한 보상은 활동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것은 앞서 제시한 네트워크 효과를 위한 인센티브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습니다.

NCOP 토크노믹스는 인센티브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무작위의 에어드롭 방식이 아닌, 참여자의 활동에 따른 인센티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입니다.

Last updated